우리는 2

삶의 격

. 자아 존중과 존엄에 대한 평가를 내릴 때 타인에 의한 경계선은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. 중요한 것은 본인 스스로 그은 경계다. 내가 견딜 수 없다고 해서 다른 사람도 똑같이 느끼는 것은 아니다. 어떤 행동이 그 자체만으 로 존엄성이 결여 되었다거나 하는 것도 아니다. 존엄성의 문제는 항상 자아상과 행위의 한계 선에 맞물려 있다.📖 . . . 인간 존엄성:인간이 인간이기 때문에 가지는 부정하거나 범할 수 없는 고상한 성질. 우리는 존엄이란 단어를 알고 있다. 분명 알고 있지만 정확하게 표현하기엔 애매한 단어다. 대체 존엄은 무엇일까? 또 존엄한 삶은 무엇이고? 저자는 우리가 알고 있지만 알 수 없는 존엄한 삶의 형태를 세가지 차원으로 접근한다. 첫째. 내가 타인에게 어떤 취급을 받느냐 둘째. 내가 그들을..

Question 2022.08.27

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

『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』를 이틀 만에 다 읽었다. 책을 느리게 읽는 편인 내가 단숨에 이 책을 읽어낸 이유는 '도대체 무슨 말을 하려는 거지?'라는 의문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. 책의 절반을 읽어도, 삼분의 이 지점까지 읽어도 맥락이 잡히지 않았다. 그럼에도 흥미로웠고, 마지막까지 완벽했다. 스포일러있음 🏷 "의미는 없어. 신도 없어. 어떤 식으로든 너를 지켜보거나 보살펴주는 신적인 존재는 없어. 내세도, 운명도, 어떤 계획도 없어. 진실은 이 모든 것도, 너도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란다." (54) ⠀ 룰루 밀러는 아버지로부터 '넌 중요하지 않아. 혼돈만이 우리의 유일한 지배자'라는 가르침을 들으며 자랐다.(p.55) 그러나 마음속으로는 반박하고 싶었다. 그렇기에 집착에 가까울 만큼..

Sprinkle 2022.08.22